728x90
반응형

기계식 키보드의 다양한 타건음을 즐기자

 

기계식 키보드에 빠져들면 타건음에 목숨을 걸게되는데(?) 정말 원하는 타건음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 가지를 하는거 같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신경쓰는게 바로 스위치가 아닐까 생각된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에 짤칵거리는 청축의 소리에 이끌려서 그리고나서는 리니어축의 깔끔함에 이끌리고 택타일의 도각거림에 반해서 이리저리 끌려다니다가는 사무실에서는 저소음축의 정숙함에 이런저런 스위치를 써보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스위치를 사용하면서 거치는 과정은 아무래도 풀윤활이 될것이고 지금에 와서는 다양한 스위치들에서 약간은 취향이 생기면서 정리가 되어가는거 같다. 물론 가끔씩 타이핑하고 싶은 축들이 있어, 여러대의 키보드를 넘나들고 있지만...

 

그래서 그동안 사용해봤던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에 대해서 분해해보고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려 한다.

 

 

하이톤 짤깍임 오테뮤 오션 클릭(Outemu Ocean Click)

 

기계식 키보드에 입문할 때 가장먼저 만나게되는 축은 역시 청축이다. 그 특유의 짤깍거림 때문에 보통은 입문하게 되는데 게이밍 키보드로 기계식 키보드를 접근한다면 역시나 청축 또는 클릭축이 제격이다.

 

오테뮤 청축과 유사하게 클릭축으로 오션축이 있는데 이번에 골라봤다.

 

하늘색이 너무나도 상큼하다

 

그럼 오테뮤 오션 클릭을 만나보자. 오션축은 청축의 시원한 타건감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그 외형도 하늘색으로 오션이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만들어져 있다.

 

이제는 3핀이 익숙하다

 

아래를 보면 전형적인 오테뮤의 3pin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투명한 하늘색으로 만들어져 LED가 잘 투과되도록 만들어져 게이밍 키보드에 장착하기에 최고로 만들어진 스위치로 생각된다.

 

스위치 오프너는 항상 똑같다

 

오늘도 같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서 분해를 해본다. 여러 가지 형태의 스위치 오프너가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른 것도 사용해보고 싶다.

 

상하판의 이음새는 체리스위치와 유사하게 네 개의 발이 달려있어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하기가 매우 편하게 만들어져 있다. 실제로 오프너를 사용하기가 너무나도 쉬웠다.

 

오션축은 네발타입이다

 

스위치 오프너에 올려놓고 엄지손가락으로 꾹 눌러주면 딸깍하면서 스위치의 상판과 하판이 분리된다. 다른 오테뮤 스위치에 비해서 열기가 너무나도 쉬워 마음에 들었다.

 

오션축은 잘 열린다

 

상판을 드러내면 안쪽에 스템과 스프링이 보인다. 오션 클릭은 청축 계열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키압이 상당하게 높다. 그리고 짤깍임을 극대화 해야하기 때문에 스템의 길이도 상당하게 길다.

 

기다란 스프링이 보인다

 

스템과 스프링을 드러내보면 일반적인 하판의 모습이 보이고 택타일에 준하는 긴 길이의 스템이 보인다. 스프링의 길이도 길고 바닥을 때리면서 철심에 걸려서 짤깍임을 만들어내도록 만들어져 있다.

 

오션축은 스템과 스프링도 길다

 

오테뮤의 오션 클릭은 전형적인 청축의 그것인데 다만 타건감이 일반적인 청축보다 더 경쾌하게 하이톤의 짤깍임을 만들어줘서 정말 게이밍 키보드에 제격인 스위치이다.

 

요즘 오테뮤는 스위치 품질이 좋다

 

전형적인 청축의 구조로 한쪽면에 금색 철심이 나와있어 짤깍거림이 극대화된다.

 

좌측 길게나온 철심으로 짤깍 소리를 만든다

 

결국 이런거를 생각한다는 것은 커스텀 키보드의 세계로 깊숙하게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아래에는 제조사에서 말하는 오테뮤 오션 클릭의 스펙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계식 키보드의 다양한 타건음을 즐기자

 

기계식 키보드에 빠져들면 타건음에 목숨을 걸게되는데(?) 정말 원하는 타건음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 가지를 하는거 같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신경쓰는게 바로 스위치가 아닐까 생각된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에 짤칵거리는 청축의 소리에 이끌려서 그리고나서는 리니어축의 깔끔함에 이끌리고 택타일의 도각거림에 반해서 이리저리 끌려다니다가는 사무실에서는 저소음축의 정숙함에 이런저런 스위치를 써보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스위치를 사용하면서 거치는 과정은 아무래도 풀윤활이 될것이고 지금에 와서는 다양한 스위치들에서 약간은 취향이 생기면서 정리가 되어가는거 같다. 물론 가끔씩 타이핑하고 싶은 축들이 있어, 여러대의 키보드를 넘나들고 있지만...

 

그래서 그동안 사용해봤던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에 대해서 분해해보고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려 한다.

 

 

무소음에 가까운 오테뮤 톰 저소음 넌클릭(Outemu TOM Silent)

 

기계식 키보드를 계속해서 쓰고는 싶은데 사무실에서 시끄러울까봐 신경이 쓰인다면 이때부터 찾아보는 스위치가 바로 저소음 계열의 것들이다. 하지만 기성품 키보드 시장에서 저소음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순간 가격이 많이 올라간다.

 

그래서 결국 대안으로 생각하게 되는게 역시나 오테뮤사의 저소음축들이다. 가격을 보면 체리사의 제품보다 너무나도 저렴하다. 그리고 품질도 나쁘지 않다.

 

회색이 은근 이쁘다 - 오테뮤 톰

 

그럼 오테뮤 톰 저소음 넌클릭을 만나보자. 우선 클릭해보면 TOM은 키압이 어느정도 세다. 외형은 방진축 형태를 하고 있고 색상은 회색으로 깔끔하다.

 

다른 오테뮤 스위치에 비해서 깔끔하다

 

아래를 보면 전형적인 오테뮤의 3pin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뭔가 다른 오테뮤의 스위치들보다 단단하게 만들어진 느낌이다.

 

오늘도 핑크 오프너 출동이다

 

오늘도 같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서 분해를 해본다. 여러 가지 형태의 스위치 오프너가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른 것도 사용해보고 싶다.

 

스위치를 분해해보자

 

상하판의 이음새는 체리스위치 타입이 아닌 일자로 연결된 형태라 알맞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줘야 한다. (보통은 두가지 타입을 지원하니 잘보고 사용하자.)

 

어렵게 열었다

 

스위치 오프너에 올려놓고 엄지손가락으로 꾹 눌러주면 딸깍하면서 스위치의 상판과 하판이 분리된다. 다른 스위치들은 정말 분리가 잘되는데 가끔 오테뮤 스위치들은 한쪽으로 스위치가 쓰러지면서 분리가 잘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 스위치도 분리가 잘안되서 고생을 많이했다. 스위치 오프너가 문제인건지 잘 모르겠다.

 

금색 스프링이 보인다

 

상판을 드러내면 안쪽에 스템과 스프링이 보인다. 톰 저소음 넌클릭은 키압이 적당하게 높기 때문에 타이핑하는 맛은 있지만 오래 타이핑하면 조금은 피곤할 수 있다.

 

이중 스프링이 단단하다

 

스템과 스프링을 드러내보면 일반적인 하판의 모습이 보이고 택타일에 비해서 리니어 특유의 작은 스템이 보인다. 스프링의 길이는 보통이지만 장력 확보를 위해서 2중 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옆면에 고무재질이 특이하다

 

오테뮤의 톰 저소음 넌클릭은 저소음 백축과 유사하게 소리가 거의없다. 다만 키압에서 차이가 있는 느낌이다.

 

저소음 백축이나 피치축과는 다르게 하판 옆면에 고무 댐퍼가 아닌 뭔가가 발라진 느낌이다. 여튼 비슷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거 같다.

 

결국 이런거를 생각한다는 것은 커스텀 키보드의 세계로 깊숙하게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아래에는 제조사에서 말하는 오테뮤 톰 저소음 넌클릭의 스펙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