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말을 안들으면
어떻게 해야할까?
정말 막막한 때가 많다.
아이들이 말을 안듣는다구요? 이렇게 했더니
요즘은 아이들이 조숙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이른나이에 아는것도 많고 생각도 빠르다.
그래서인지 부모의 말을 일찌감치 안듣는 것 같다.
부모나 어른의 입장에서 참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만약 어른들에게 반대의 상황이 생긴다면 아이들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해본다.
얼마전 모 드라마에서 시어머니를 운전연수해주는 며느리가 나왔는데 결국은 며느리의
운전에 대한 잔소리가 싫어 배우지 않겠다는 그런내용이었다.
운전면허가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씩은 그런경험이 있을 것이다.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이 운전연수를 시켜줬을때의 그 미묘한 불편함.
누구든 잔소리를 듣는 것은 괴로운일이다.
그 대상이 우리에게 익숙한 누군가에게라면 더욱 견디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객관화된 대상으로 책과 같은 매체를 통해서 그 잔소리를 만난다면 좀 다르지않을까?
그것도 개인적인 취사선택을 통해서 얻을수 있다면, 잔소리가 아닌 깨달음으로 느껴질 수
있으니 마음도 상하지 않으면서 배움도 얻을 수 있는 일거양득이라 생각한다.
그런측면에서 필자의 부모님도 간간히 그런방법을 사용하셨는데
자식에게 뭔가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가 있을때마다 책을 선물하셨고, 책장의 책은 늘어만갔다.
처음에는 그렇게받은 책을 그저 책장에 꽂아놓기만 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그책을 읽다보면
문득 부모님이 필자에게 하고자하셨던 말씀이겠거니하고 깨달음으로 옮겨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되짚어보면 그런 깨달음이 부모님과의 관계와 함께 나에게 더욱 기억에
남는 말씀으로 기억이 되었고, 내 마음속에 반항심이라는 것도 전혀 남지 않았다.
물론 이 방법만으로는 훈육이라던가 어떤 교육이라는 측면의 도구가 될 수는 없다.
기본적인 것들은 대화를 통해서 관계유지를 해나가야 한다. 하지만 그 안에서 어떤 어려움이
생긴다면 책을 통해서 그 대화의 연결고리를 풀어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중에서 몇권의 책을 아래에 소개해본다.
이런방법이 좋아보이시는 분들은 꼭 가족이 아니더라도 가까운 사이의 친구나 또는 고객
등에게 선물하면 참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참고로 아래 소개한 책들은 자녀의 연령대에 적절하게 다른책들로 대체해도 좋을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우리 부모님들도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는다면 일석이조의 효과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예전의 기억을 되살리면서 책장 속지에 간단한 메시지를 적어 책을 선물해보자.
혹 이북은 메시지를 어떻게 적을까요라고 묻는분도 있지않을까 소소한 걱정(?)도 함께해본다.
1. 필립 체스터필드 '아들아 소중한 인생을 값지게 살아라'
필자는 어머님에게 선물받은 책인데 수백년전에 아버지가 아들에게 쓴 편지형식의 책으로
어린아들이 살아가면서 갖춰야할 기본자세부터 각분야의 지식과 인간관계까지 삶전반에 대한
아버지의 견해를 가족애라는 주제와 묶어 표현하고있다.
물론 시대적인 차이는 있을수 있지만 근본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부모가 자녀에게 전달하고픈
유용한 잔소리(?)들로 구성되어 있어 더없이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2. '리콴유 자서전'
이 책은 필자의 아버님이 선물하신 책이다. 자서전은 우리 어릴적의 위인전과 같은 존재가 아닌가
생각된다. 대부분의 위인들의 어려운 시절을 이겨내고 성공을 이루는 스토리를 통해서 우리의
아이들에게도 가야할 방향을 또 그 안에서 진한 감동을 주기에 최선이 바로 자서전류의 책들이 아닌가
생각된다.
3. 유시민 '청춘의 독서'
이 책도 어머님께 선물받은 책인데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갈수록 책을 읽지 않는다고 한다.
책을 읽는 방법과 관련된 책이나 유명인들의 추천도서에 대한 책을 선물하는 것도 좋은 방편이라
느껴진다. 필자에게 있어서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는 책들이 지나고나면 도움이 되었다.
아마 이 책도 아이들에게는 어렵겠지만 다른 독서의 확장을 위해 도움이 되는 책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 Real Prince -
'리얼프린스의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또를 안사고 당첨되는 방법은? (1) | 2023.12.29 |
---|---|
넝쿨째 굴러온 당신의 유준상 남자들의 적일까? (0) | 2012.05.29 |
드라마와 축구경기는 똑같다. 왜? (0) | 2012.05.15 |
개표방송 보기 편하셨나요? (0) | 2012.04.13 |
나라가 망한다구요? - 인문고전이 뭐길래? (0) | 201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