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07년경에 나온 자기계발 서적의
트렌드는 다 이랬다보다.
반복되는 세뇌로 전파한다.
믿어야 한다. 믿어야 한다.








더 시크릿(The Secret) / 론다 번 / 살림Biz / 2007년

2000년대 초반부터 자기계발 서적을 시계열 적으로 읽어보면 그 트렌드가 보인다.
2006년에서 2007년 경에는 시크릿과 유사한 계열의 책들이 많이 나온 것 같다.
물론 더 시크릿은 사상초유의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아직도 국내 자기계발 서적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적 분류상 더 시크릿이 자기계발 서적이 아니라는 주장도
많지만 그건 독자가 활용하기 나름으로 독자의 판단에 맡겨주고 싶다.)


인간으로서 우리가 할 일은 원하는 대상을 집중하여 생각하고, 그 대상이 어떠해야 하는지
아주 명확하게 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우주에서 가장 커다란 법칙인 끌어당김의 법칙이
발동한다. 당신은 자신이 가장 많이 되고 싶어하는 존재가 되고, 당신이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을 끌어당긴다. (본문중에서 p24)


사실 수많은 서적에서 '끌어당김의 법칙'이 인용되고 있다. 때로는 네트워크 마케팅에서
말하는 마케팅 기법처럼 들리기까지 하는 끌어당김의 법칙 보다 더 눈에 들어오는 것은
원하는 대상에 대해서 명확하게 정하는 것 이라는 문구이다. 무엇을 해야할지 알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면 이미 그 일은 절반이상 끝난 것이라 말하고 싶다.


부정적인 일이 삶에 나타나려면 부정적인 생각을 정말로 많이 하고 꾸준히 해야 한다.
일정 시간 동안 부정적인 생각에 매달리면 그것이 실현되어 나타날 것이다.
그러니까 부정적인 생각을 하면 어쩌지 하고 걱정하면, 더 걱정하게 되고, 이것이 다시
증폭되어 버린다. 앞으로 오직 좋은 생각만 하겠다고 결심하라. 그리고 좋은 생각은 모두
강력하지만 부정적인 생각은 약하다고 우주에 선언하라. (본문중에서 p39)


 삶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자 정도로 해석하고 싶다. 마치 우주에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존재가 있는데 우리가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면 혼내준다더라 이런 느낌으로는
신뢰감을 가지고 책을 읽을 수 없기에, 긍정적인 마인드가 결국은 좋은 일로 이끌어준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싶다.


아인슈타인의 말을 더 깊이 파고들어가 보면, 이렇게 주장할 수 있다.
"이 우주는 근사한 곳이다. 우주는 내게 온갖 좋은 것을 준다. 모든 일에서 나를 도와준다.
내가 어떤 일을 하든지 나를 지지한다. 내게 필요한 것을 즉각 보내준다."
받아들여라! 이 우주가 우호적인 곳임을. (본문중에서 p59)


흔히 성공한 사람들이 하는 말로 '어쩌다보니 여기까지 왔네요.' 또는 '주변에 도와주는
사람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모두에게 감사합니다.'와 같은 표현들을 아인슈타인은 겸손의
표현으로 우주에게 빗대어 말한게 아닐까. 이렇게 말을 하지만 그들의 삶을 잘 보면
끝없는 열정과 노력으로 점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주에게 말하고 끌어당김의 법칙을 실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은 단지 성공하기 위한
준비작업 즉, 워밍업 정도 밖에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아주 좋은 패턴이다. 유명한 사람의 말을 더 깊이 파고들어가 나만의 주장을 만들어낸다.
모방을 기반으로한 덧붙임은 새로운 창조가 되는 것이니 이것만큼 훌륭한 것이 있으랴 생각된다.


당신이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지만, 그것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알아야 한다.
바로 그것이 당신이 할 일이다. 명확하지 않으면 끌어당김의 법칙이 당신 소망을 들어주지 못한다.
뒤죽박죽된 신호를 전송하면 뒤죽박죽된 결과만 얻을 뿐이다. 태어나 처음이 될지도 모르겠지만,
정말로 원하는 것을 한번 기록해보라. (본문중에서 p65)


앞에서도 말했지만, 위의 말은 전적으로 동감한다. 명확하게 자신의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래야만 이룰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는 그것을 글로 표현하거나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더욱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최대한 구체화하고 그에 따른 실행계획을 세우자.
그러면 성공은 당신의 것이다.


어떻게 하면 믿을 수 있을까? 믿는 척 해라. 아이처럼, 그런 척 해보라.
원하는 게 이미 당신에게 있는 척 해보라. 그러면 정말로 이미 받았다고 믿기 시작하게 될 것이다.
지니는 지배적인 생각에 반응한다. 요청하는 순간의 생각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대문에 요청한 뒤에는 반드시 계속해서 믿어야 한다. 믿어라. (본문중에서 p68)


우리가 보통 복권에 당첨되는 그 돈으로 무엇을 할까하고는 다른 이야기이다.
이미 나에게 와있다고 생각하되 그것을 얻으려면 무엇을 해야할지에 집중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저 파티에서 즐기고 있는 상상속의 나만을 꿈꾸는 몽상가가 될 뿐이니까.
핵심은 '끌어당김의 법칙'에 겉모습에 속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그 안을 들여다보고
실천의 의지를 불태워야 하는 것이다.


이제 "난 꼭 주차할 자리가 있단 말이야"라고 말하는 사람이 왜 주차공간을 잘 확보하는지
이해하리라. 또는 "난 항상 운이 좋아. 늘 이기거든"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왜 계속해서
이기는지 이해할 것이다. 이 사람들은 그런 결과를 기대한다. 멋진 일을 기대하라.
앞날에 멋진 인생이 창조될 것이다. (본문중에서 p85)


어려서부터 필자는 나의 아버지로부터 '자기암시'라는 용어를 자주 들어왔다.
된다고 생각하면 실제로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자라면서  더 많이 들은 용어는 '머피의법칙'
이지만, 결국은 긍정적인 마음으로 '자기암시'를 해아한다. 물론 준비를 수반한 상태에서.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현 상태를 바라보면서 "이게 나야"라고 말한다. 그건 당신이 아니다.
그건 과거의 당신이다. 예를 들어 당신에게 현재 돈이 얼마 없거나, 원하는 배우자가 곁에
없거나, 원하는 만큼 건강하지 않다고 해보자. 그건 당신이 아니라, 과거의 생각과 행동이
만들어낸 결과다. 이렇게 우리는 과거에 우리가 한 생각과 행동의 결과 속에서 계속 살아가고
있다. 현재 상태를 보고 그것으로서 자신을 정의하면, 앞으로도 그 이상을 얻지 못할 암울한
운명에 자신을 가두어버리는 셈이다. -제임스 레이 (본문중에서 p95)


물론 우울한 과거의 생각만을 가지고 살아간다면 미래에 대한 걸림돌이 되기만 할 것이다.
하지만 과거의 잘못된 부분 만큼은 철저하게 분석해야 한다. 그래야 미래에게 더 나은
모습을 만들수 있으니까. 기존의 시각과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우리는 우리의 핸디캡이
되는 부족한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 그래야만 새로운 터닝포인트를 만들 수 있다.


돈을 더 많이 끌어당기려면 돈에 좋은 감정을 느껴야 한다. 돈이 별로 없을 때 돈을 좋게
여기지 않는다는 점은 이해가 간다. 하지만 그 부정적인 감정 때문에 돈이 더 많이 들어오지
못하고 있다! 당신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하고, 끊으려면 돈에 좋은 감정을 느끼고 이미
가진 것에 감사해야 한다.  (본문중에서 p132)


이런 문구를 읽을때마다 한숨이 나온다.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좋은 생각만을 하자.
감사하자. 다 좋은 이야기다. 말 그대로 그냥 좋은 이야기다. 더이상 말하지 않아도 필자의
의도를 이해하시기를 바라면서.


과거를 돌아보며 지난날의 어려움에 집중하면, 지금 자신에게 어려움이 더 많이 찾아오게
될 뿐이다. 어떤 일이 있었던지 다 놓아버려라. 자신을 위해 놓아버려라. 지난 일에 대해
누군가를 탓하거나 앙심을 품으면 스스로 다칠 뿐이다. 당신에게 어울리는 삶을 창조할 이는
오직 당신 자신밖에 없다. 원하는 것에 의도적으로 집중하고 좋은 감정을 발산하면, 끌어당김의
법칙이 그에 응답할 것이다. 당신은 그저 시작하기만 하면 된다. (본문중에서 p197)


시크릿에서도 자기계발 서적에서 보아왔던 자기경영을 위한 수많은 공통점들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그 많은 공통점들 안에서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다.
내 자신이 스스로 원하는 것을 찾아 구체적으로 생각하고, 계획하고 실행하는 모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 과정이 없이는 복권을 사놓고 일주일동안 즐거워하다가 주말이면 허탈해지는
인생의 반복이 아닐까?
 
- Real Prince -




팁텍톡!의 글이 유용하다고 생각되시면 아래를 활용하셔요.
Follow JoyfulPrince on Twitter 트위터로 만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이메일로 연락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읽다보니 어느새 끝에 다다른 책
짧고 굵은 메시지를 전달해
실천적인 자기계발 방법을
세뇌시켜주는 책








춤추는 고래의 실천 / 켄 블랜차드 외 / 청림출판 / 2009년

이제는 자기계발 서적들의 패턴이 1권이 성공하면 실천편이라는 이름으로 2권을 발행하는데
이책도 그런 측면에서 실천 중심의 자기계발 서적이다.
때로는 이런 마케팅 방법이 상투적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사람들이 책을 사는 것을 보면
어쩔 수 없게 만드는 무엇인가가 있나보다.

체중을 줄이려면 식이요법이 필요한 것처럼 '아는 것'과 '실천' 사이에 있는 도무지 좁혀지지
않는 틈이 이 책을 통해 없어지길 바란다. 이 책은 그 틈을 없애기 위해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지침들을 소개할 것이다.
당신의 목표가 성취되고, 이를 통해 우리가 꿈꾸는 것 역시 실현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프롤로그 중에서 p9)


그렇다. 직접 해보지 않고는 알 수 없듯이 자기계발에 있어서도 책에서 읽은 내용을 좋은
이야기로만 감상하지말고 꼭 자신의 생활에 적용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결국은 다른 사람의 성공스토리에 감탄하고 부러워하는 시간은 짧을수록 좋다.
이제는 우리가 성공할 시간이니까.

지식과 실천의 틈을 메워라!
 - 책을 읽거나, CD를 듣거나, 강연회에 참석하는 등 많은 교육을 받지만 행동으로 옮겨
 실천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 첫 번째 이유는, 지식을 너무 많이 흡수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식을 쉽게 얻기 때문에
 행동의 변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 두 번째 이유는, 부정적 잣대로 걸러내는 마인드이다. 부정적 태도는 행동을 가로막는다.
 - 세 번째 이유는, 실천하고자 하는 것을 이뤄내는 의지가 약하기 때문이다.
 - 아는 것과 실천하는 것의 틈을 메우는 것은 반복이다.
 (본문중에서 p43)

이전에 시각과는 조금 다르다. 우리가 너무나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에 더욱 실천과 멀어진다는
논리이다. 흔한말로 '정보의 홍수'속에서 정신 못차린다로 해석된다.
결국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섭취하고 활용하는 것이 실천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다는 말이다. 개인적으로는 세 번째 이유가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고 세미나에 참석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일은 아닙니다. 책을 읽는 것은 근본적인
학습 방법이고,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일이에요. 다만 우리가 새롭게 얻은 지식을 통합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여유를 갖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지식을 접하게 되면 문제가 생기는 거지요.
더구나 이런 식으로 계속 정보를 접하게 되면 머릿속이 뒤죽박죽 엉켜버리고 맙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이유로 정보의 바다에서 익사해버리는 거랍니다." (본문중에서 p55)


결국 책을 읽을때에도 책을 읽은 이후가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책에 대한 느낌을
정리하고 또 자신에게 적용해보는 과정을 거쳐야만 책에 대한 의미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또 자신의 생각과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것이 바로 실천 아닐까?

"저는 어떤 책이든 처음 읽을 때는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쭉 읽습니다.
말 그대로 통독을 하죠. 두 번째 읽을 때는 주요 개념에 밑줄을 그으면서 읽습니다.
그리고 세번째 읽을 때는 생각을 정리하면서 메모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네 번째
읽을 때에는 학습 파트너나 동료들과 함께 내용에 대해서 토론을 합니다." (본문중에서 p64)


일반인들이 이런 같은 책을 네 번 읽기는 어렵지만, 캔 블랜차드가 이야기하는 새 번째
책읽기 까지는 가능하다. 사실 네 번째도 아무도 없는 방에서 화이트보드에 책을 정리하면서
가상의 청중에게 강의하는 형태로 실천할 수 있다.
정독과 다독을 적절하게 결합한 독서의 형태야 말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정보의 과부하
 - 한 번 읽거나 들은 내용은 단지 일부만 기억에 남는다.
 - 따라서 우리는 많은 정보를 얻는 데 치중할 것이 아니라 적은 정보라도 더 자주 반복하면서
 읽고 배워야 한다.
 - 무언가 마스터하기 위해서는 소수의 중요 개념에만 초점을 맞추어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그 생각이나 기술을 깊이 파고들어야 한다. 일정한 간격을 둔 주기적인 반복이 바로 열쇠이다.
 - 사람들은 일단 자신의 업무에 숙달되면, 훨씬 더 창의력을 발휘하여 큰일을 해낼 수 있다.
 (본문중에서 p90)


결국 많은 정보를 접하되 그 정보안에서 자신에게 필요하고 중요한 정보에 대해서는 조금 더
자세하게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그 과정이 반복이라는 단어로 정리될 수 있다.
반복학습을 통해서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는 과정에서 그 지식을 자신의 업무나 삶에 녹아들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은 이런 과정이 창의력을 도와주는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거부에서 동화까지
첫 번째 노출 : 거부 - 나는 그것이 기존의 내 생각과 대립되기 때문에 거부한다.
두 번째 노출 : 저항 - 이해는 할 수 있지만 받아들이지 못하겠다.
세 번째 노출 : 부분적 인정 - 그 생각에는 동의하지만, 실제 적용하는 것은 유보하겠다.
네 번째 노출 : 완전한 인정 - 내가 생각하던 바를 그대로 표현했군.
다섯 번째 노출 : 부분적 동화 - 오늘 이 생각을 실천에 옮겨봤는데 아주 좋았다.
여섯 번째 노출 : 완전한 동화 - 나는 이생각을 우리 사원들에게도 알려주었다.
이 생각은 말 그대로 내 생각이 되었다. (본문중에서 p129)


반복의 변화과정을 위에서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익숙한 환경을 좋아한다.
회사에서도 불합리하고 비논리적인 업무처리과정이 있어도 예전부터 그렇게 해왔으면 그대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변화라는 것에 대부분 두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경우에 위와 같은 반복을 통해서 개선이라는 단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좋은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데에는 이렇게 많은 노력이 필요한가 보다.

"배움에 대한 의욕과 계획이 없는 사람은 성공하기가 무척 힘듭니다. 무엇보다 고생을 참고
견딜 수 있는 동기 부여가 없기 때문이죠. 예컨대 아버지는 제게 그 차를 조립해야 하는
필요성과 계획을 마련해 주신 셈이죠. 그리고 저는 스스로 해냈기에 더 많은 애착을 가지고
열망을 가지게 되었고요. (본문중에서 p182)


'배움에 대한 의욕과 계획' 정말 중요하다. 아무리 많은 학습지와 같은 좋은 도구들이 있어도
자신의 의지가 없다면 다 무용지물이다. 의지없는 이가 컴퓨터 학원에 앉아서 하루종일
들어오지도 않는 이론을 배우는 것보다 게임을 해봐야 겠다는 의지로 DOS명령어 공부를 밤새워
하는 것이 더 낳은 것 아닐까? 결국은 그렇게 이루어낸 것이 자신의 것이 되는 거다.

사후관리의 부족
 - 배움을 열망하고, 배움을 위한 계획을 갖고 있는 사람만이 성공한다.
 - 자신이 배운 것을 실천하는 일을 운에 맡겨선 안 된다. 우리가 가진 올바른 의도를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체계와 지원, 책임감을 제공하는 사후관리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
 - 알려주고, 보여주고, 시켜보고, 관찰하고, 나아진 점을 칭찬하거나 잘못된 점을 바로잡아주는
 과정을 반복하는 일은 잠재적인 승자를 진정한 승자로 만들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진 사후관리
 계획이다. (본문중에서 p227)


'실천을 운에 맡겨서는 안된다.' 왜일까? 결국 자신의 인생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인생을 남에게 또는 운이 마음대로 하게 내버려둘 수는 없지 않은가?
그렇다면 억울하지 않을까? 로버트 기요사키는 뮤추얼 펀드에 투자하지 말라는 조언을 하면서
항상 하는 이야기가 있다. '펀드 매니저'들이 당신이 투자한 돈을 자신의 돈처럼 관리해 줄까요?
라고 이야기 한다. 나의 인생을 남들이 결정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은 정말 바보같은 것이다.

"우리가 행동을 바꾸기 위해 거쳐야 할 두 번째 변화 단계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것을
'마인드의 변화'라고 합니다. 마인드는 그 사람의 지식이 감정의 형태로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어떤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느끼는 감정이 그것입니다.
마인드는 지식보다 바꾸기가 힘들죠. 사람들은 곧잘 '당신 말이 무슨 뜻인지는 알겠어요.
하지만....'이라고 말합니다. 만약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면 당장 그 '고약한 생각'을
던져버리십시오." (본문중에서 p240)


위에서 말하는 부분은 아직까지 미지수다. 내 자신도 어떻게하면 인간의 의지를 키워주고
또 배움에 대한 열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다.
이것은 향후 자녀교육과도 연결 될 수 있는 실마리가 된다.
결국 실천이라는 주제도 하고자하는 의지를 가진자에게만 시작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닐까?
그렇다면 론다 번의 '시크릿'과 같은 책은 그 의지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일종의 꼬심(?) 아닐까?
좀 더 고민해보자.


- Real Prince -




팁텍톡!의 글이 유용하다고 생각되시면 아래를 활용하셔요.
Follow JoyfulPrince on Twitter 트위터로 만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이메일로 연락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