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간만에 여행기
박정석 작가도 오래간만
오래간만에 만나도 작가는 작가
감성적인 여행기는 반갑다
화내지 않고 핀란드까지 / 박정석 / 시공사 / 2011년
여행! 항상 꿈꾸지만 떠나기 쉽지 않은게 여행아닐까.
언제나 같은 자리에서 같은 일을 하고 있는 자신에게 외치는 말중에 하나이지만 우리는 언제나
그 자리에 있다. 우리에게 새로운 힘을주고 또 다른 만남을 선사할 수 있는 여행. 떠나고 싶다.
인지적 병신에 이어 감각적인 병신마저 되어간다는 것. 언젠가부터 부끄러움도, 슬픔도, 예전처럼
강렬하지 않았다. 자정 넘어 라면 한 그릇 먹어치우고도 별 죄책감 없이 쿨쿨 잠이 들었다. 만일
아직도 일기를 쓰며 하루를 반성하는 노인이 있다면 존경을 넘어 그를 사랑할 것이다.
"여행을 가 보지그래? 세상 구경도 하고 재충전도 할 겸..." (본문중에서 p15)
나이가 먹으면서 줄어드는 것이 수치심 아닐까. 꼭 수치심이라는 표현보다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익숙해진다는 표현이 좀 너그러울 것 같다. 세상구경과 재충전. 조금은 사치스러워 보이지만
누군가에게는 꼭 필요한 요소인지 모르겠다. 꼭 거창할 필요있겠는가. 그냥 떠나는 거다.
-과 인생은 이전과는 차츰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기 시작한다. 여행은 이전보다 고단해질 것이고,
돈도 더 많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배시시 웃거나 눈물을 짜는 시늉을 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용서되고
호감을 사던 시절은 진작 막을 내렸다. (본문중에서 p31)
우리는 나이를 먹으면서 헬스크럽에 있는 고정된 자전거의 페달을 돌리듯 항상 같은 장소에서
달리고 있다. 매일매일 같은 자전거에서 앞으로 달리지도 못하는 바퀴를 계속 돌리고 있다.
잠시 페달을 멈추고 다른 곳을 구경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는 자는 얼마없다. 그저 오늘의 일용할
양식을 얻기위해서 열심히 제자리에서 페달을 밟을 뿐이다. 그게 바로 우리가 나이를 먹는 과정인가
보다.
저 세 가지가 행복의 요인이라면 괴레메에 사는 것이 행복하겠지. 그렇지 않다면 여행과 생활이
같지 않다는 증명이 된다. 아니면 영속적인 행복의 가능성에 대한 반증이거나. (본문중에서 p55)
여행은 여행이라는 자체가 주는 즐거움을 동반하고 있다. 흔한말로 좋아하는 것이 일이되면
재미없어진다는 말처럼 정말 좋아하는 장소도 여행이 아니고 생활이라면 또 다시 익숙함의 권태 속에
몸을 싣고 페달을 밟아야 할 것이다. 예쁜 풍경, 저렴한 물가, 항상 쾌청한 여름날. 어쩐지 맛있고,
싸고, 양많고, 고급스런 식당을 찾는 그런 느낌이다.
막힌 작은 나라에서 이렇게 밤새도록 달리고 또 달리는 먼 거리의 이동은 불가능하니까.
그런 점에서 나는 영원히 유럽 인의 감수성을 이해하지 못할지도 모르겠다. 나와는 너무나 다른
공간적 경험을 하며 사는 사람들이다. (본문중에서 p77)
우리가 여행을 떠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일상에서 느끼기 어려웠던 새로운 경험들이
한몫을 할 것이다. 해외여행을 가고싶다고 말하면 누군가 이런말을 한다. '아직 한국도 제대로
경험하지 못했는데 해외는 무슨' 그럴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와 모든 것들이 다른 문화를 경험한다는
것이 물리적인 풍경과 현지인의 감성적인 차이를 느끼게 해주는 것 아닐까. 다시금 떠나고 싶다.
세상을 규정하던 정보의 매트릭스가 몽땅 사라지자 예상했던 자유 대신 막막한 기분이 들었다.
객관식만 풀다가 주관식 문제를 처음 접하게 된 수험생처럼, 커다랗고 낯선 공간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너무 오랫동안 가이드북에 의지하고 살아온 것이다.
(본문중에서 p86)
사람에 따라서 그 스타일이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행을 가기전에 철저하게 계획을
세우곤 한다. 빡빡한 스케줄에 시간표를 잘 만들고, 쇼핑도 어디에서 할지 미리 정한다.
더군다나 지금처럼 인터넷에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에 현지에서는 빠른걸음으로 정해놓은
장소에서 멋진 사진을 남기면 그만인 것이다. 나 또한 그랬다. 지나고 나서 나에게 질문한다. '그래서
그렇게 다니니 재미있었니?'
가면서 더 많은 거리와 건물,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그중에는 의미 없는 것이 상당수 섞에 있겠지만,
의미는 그들이 나에게 주는 게 아니다. 내가 그들에게 주는 것이다. 크라쿠프는 다 예뻤다.
(본문중에서 p164)
여행자만이 가질 수 있는 여유아닐까? 나 또한 여행을 하며 많이도 걸었고, 또 헤맸었다.
물론 힘들기는 했지만, 수없이 걷고 또 걸어간 골목에서 나를 반기는 새로운 풍경들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결국 여행의 주체는 나이니까 좋을 수 있는것 아닐까.
(본문중에서 p159)
같은 장소에 여러번 갈 수도 있겠지만, 익숙함이라는 녀석에 길들여지기 시작하면 그것도 아무런
감동없이 그저 흘러갈 뿐이다. 익숙함에 의한 생략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우리는 다른 것을 찾게된다.
때로는 그런 생각을 해본다. 한 도시에 한달쯤 머물면서 여유있게 보고 싶은 것을 보고나면, 또 다른
도시로 다시 옮겨가는 여행을 하고 싶다고. 언제쯤 가능할까 꿈꿔본다.
결국 행복이라는 것이 정해져있는 것이 아닌 사람들마다 다른 기준을 가지고 살아가는 순간에서 만날
수 있는 것이기에 그런가보다. 살아가는 동안 그 행복이라는 것이 우리에게 좀 더 자주 오게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여행이라는 것을 떠나는 건 아닐까. 그 여행에서 행복을 만나거나, 돌아와서 행복을
만나거나 그몫은 우리들의 것이니까.
- Real Prince -
'리얼프린스의 독서노트 > 여행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의 숨겨진 여행지 어디가 좋을까? (0) | 2012.07.25 |
---|---|
무작정 인도에서 5년동안 살아보기 (0) | 2012.07.25 |
일본의 걷고 싶은 길_홋카이도 혼슈 (0) | 2011.02.16 |
소심한 남자의 홋카이도 자전거 여행 (0) | 2011.02.15 |
캠핑카 유럽여행 일반 여행보다 무엇이 좋을까? (0) | 201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