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상투적인 목차와 내용의 책
하지만 재테크 기본기에는 확실한 책
재테크 초보가 한 권만 읽자면 이 책
4개의 통장 / 고경호 / 다산북스 / 2009년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나는 '수학의 정석'처럼 돈 관리와 투자에 관한 '기본서'가 되길
바랐고, '전자제품 사용 설명서'처럼 돈 관리 '매뉴얼'을 만들고 싶었다. (머리말에서 p10)
어느 분야던 간에 꼭 필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쉽고 실현가능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실용서를 만든다는 것. 하지만 생각만큼 쉽지 않은 작업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분야에서 십수년 이상의 경험을 통해서만 가능한 작업으로 생각된다.
복리 수익률을 계산해 보고 은행의 정기예금 이율과 비교해 보는 습관을 갖는 게 좋다.
그래야만 원금 손실 위험을 감수한 투자 결과에 대해 좀 더 합리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본문 중에서 p35)
누구나 지금의 0.1% 수익이 수십년 후에 엄청난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그 차이를 어떻게 비교해서 만들어가는지는 잘 모른다. 그저 단순하게 은행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기예금 금리 정도 밖에는. 그래서 결국 중요한 것은 쉬운 틀을 만들고
그 틀에 따라서 습관적으로 실천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처음에 틀을 만드는 작업은 꼭 해야 한다.
발생한다면 주식시장을 포함한 다른 자산시장도 안전하지 못할 것이다.
실제로 일본의 경우에도 부동산시장이 폭락하기 전 주식시장이 먼저 폭락했으며, 많은 기업과
금융회사가 도산했다. 이런 경험을 한 일본인 중 일부 은퇴자나 보수적인 사람들은 예금
이율이 0%에 가까운 은행에 돈을 맡기기보다는 철제금고를 집에두고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본문중에서 p147)
지금처럼 부동산 하락이 대세론을 이루고 있는때에는 더욱 투자에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언제나 정답은 없다. 판단은 본인이 하는 것이지만, 이것 또한 어느정도는 예측해야 하기에
기본적인 지식과 자신의 원칙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문제든 복잡하면 복잡할 수록 기본에 충실하게 생각해야 한다.
위의 말은 그런 기본에 대해서 잘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느끼게 해주기보다는 이런 비용을 아껴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한 펀드 계좌를 만들고 꾸준히
투자하는 게 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또한 지금 당장 자녀를 위해 허리가 휠 정도로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다가 노후에 자녀에게 짐이 되기보다는 부담을 줄여 자신의 노후를 위해
조금이라도 더 투자를 하는 게 훨씬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본문중에서 p178)
누구나 공감하는 말이지만 현실적으로 힘든 것은 가정 내에서의 이런 지출통제에 대해서
전반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참 어렵다. 매번 지출에 대한 것을 보수적으로 운영하기도 쉽지
않고, 때로는 원칙없이 지출을 반복하다보면 노후준비는 뒷전이 되는게 일반적인 것 같다.
더군다나 요즘처럼 고용이 불안한 시대라면 더욱 미래를 알 수 없으니 준비를 해야 하는데
역시 필요한 것은 독한 마음인가보다.
자녀 대학 자금보다 노후 자금에 투자 비중을 더 두는 이유는 자녀의 교육은 당신이 직업을
갖고 수입을 유지하는 동안에 끝날 가능성이 높지만, 노후 생활은 당신의 수입이 중단된
이후에 비로소 시작되며, 사망하기 전까지 끝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 큰 문제에 대비해 더 많은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문중에서 p194)
우리세대에서 노후준비를 이처럼 하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늘어가는 수명에 노후에 대한 불안감은 증폭되어만 가지만 무작정 열심히 일한다는 것이
그런 불안감을 해소시켜주는 시대는 아닌것 같다.
이책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나만의 비율을 정적하게 원칙으로 변환하여 실천해 나가는 것이
우선은 좋은 방법으로 이해된다.
- Real Prince -
'리얼프린스의 독서노트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라는 사막이 오아시스로 바뀌는 100가지 물방울 / 스기야마 히로미치 / 에이지21 (0) | 2011.05.18 |
---|---|
기업을 살리고 지역을 살리는 돈버는 감성 / 시마 노부히코 / 젠북 (0) | 2011.04.20 |
뉴욕에서 외치는 대한민국 (0) | 2011.02.28 |
명함관리부터 소셜 네트워크 활용까지 - 비즈니스 네트워킹 (0) | 2011.02.25 |
리눅스와 위키피디아 - 소셜웹이다. (0) | 201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