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계식 키보드의 다양한 타건음을 즐기자

 

기계식 키보드에 빠져들면 타건음에 목숨을 걸게되는데(?) 정말 원하는 타건음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 가지를 하는거 같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신경쓰는게 바로 스위치가 아닐까 생각된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에 짤칵거리는 청축의 소리에 이끌려서 그리고나서는 리니어축의 깔끔함에 이끌리고 택타일의 도각거림에 반해서 이리저리 끌려다니다가는 사무실에서는 저소음축의 정숙함에 이런저런 스위치를 써보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스위치를 사용하면서 거치는 과정은 아무래도 풀윤활이 될것이고 지금에 와서는 다양한 스위치들에서 약간은 취향이 생기면서 정리가 되어가는거 같다. 물론 가끔씩 타이핑하고 싶은 축들이 있어, 여러대의 키보드를 넘나들고 있지만...

 

그래서 그동안 사용해봤던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에 대해서 분해해보고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려 한다.

 

 

무소음에 가까운 오테뮤 톰 저소음 넌클릭(Outemu TOM Silent)

 

기계식 키보드를 계속해서 쓰고는 싶은데 사무실에서 시끄러울까봐 신경이 쓰인다면 이때부터 찾아보는 스위치가 바로 저소음 계열의 것들이다. 하지만 기성품 키보드 시장에서 저소음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순간 가격이 많이 올라간다.

 

그래서 결국 대안으로 생각하게 되는게 역시나 오테뮤사의 저소음축들이다. 가격을 보면 체리사의 제품보다 너무나도 저렴하다. 그리고 품질도 나쁘지 않다.

 

회색이 은근 이쁘다 - 오테뮤 톰

 

그럼 오테뮤 톰 저소음 넌클릭을 만나보자. 우선 클릭해보면 TOM은 키압이 어느정도 세다. 외형은 방진축 형태를 하고 있고 색상은 회색으로 깔끔하다.

 

다른 오테뮤 스위치에 비해서 깔끔하다

 

아래를 보면 전형적인 오테뮤의 3pin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뭔가 다른 오테뮤의 스위치들보다 단단하게 만들어진 느낌이다.

 

오늘도 핑크 오프너 출동이다

 

오늘도 같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서 분해를 해본다. 여러 가지 형태의 스위치 오프너가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른 것도 사용해보고 싶다.

 

스위치를 분해해보자

 

상하판의 이음새는 체리스위치 타입이 아닌 일자로 연결된 형태라 알맞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줘야 한다. (보통은 두가지 타입을 지원하니 잘보고 사용하자.)

 

어렵게 열었다

 

스위치 오프너에 올려놓고 엄지손가락으로 꾹 눌러주면 딸깍하면서 스위치의 상판과 하판이 분리된다. 다른 스위치들은 정말 분리가 잘되는데 가끔 오테뮤 스위치들은 한쪽으로 스위치가 쓰러지면서 분리가 잘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 스위치도 분리가 잘안되서 고생을 많이했다. 스위치 오프너가 문제인건지 잘 모르겠다.

 

금색 스프링이 보인다

 

상판을 드러내면 안쪽에 스템과 스프링이 보인다. 톰 저소음 넌클릭은 키압이 적당하게 높기 때문에 타이핑하는 맛은 있지만 오래 타이핑하면 조금은 피곤할 수 있다.

 

이중 스프링이 단단하다

 

스템과 스프링을 드러내보면 일반적인 하판의 모습이 보이고 택타일에 비해서 리니어 특유의 작은 스템이 보인다. 스프링의 길이는 보통이지만 장력 확보를 위해서 2중 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옆면에 고무재질이 특이하다

 

오테뮤의 톰 저소음 넌클릭은 저소음 백축과 유사하게 소리가 거의없다. 다만 키압에서 차이가 있는 느낌이다.

 

저소음 백축이나 피치축과는 다르게 하판 옆면에 고무 댐퍼가 아닌 뭔가가 발라진 느낌이다. 여튼 비슷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거 같다.

 

결국 이런거를 생각한다는 것은 커스텀 키보드의 세계로 깊숙하게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아래에는 제조사에서 말하는 오테뮤 톰 저소음 넌클릭의 스펙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계식 키보드의 다양한 타건음을 즐기자

 

기계식 키보드에 빠져들면 타건음에 목숨을 걸게되는데(?) 정말 원하는 타건음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 가지를 하는거 같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신경쓰는게 바로 스위치가 아닐까 생각된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에 짤칵거리는 청축의 소리에 이끌려서 그리고나서는 리니어축의 깔끔함에 이끌리고 택타일의 도각거림에 반해서 이리저리 끌려다니다가는 사무실에서는 저소음축의 정숙함에 이런저런 스위치를 써보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스위치를 사용하면서 거치는 과정은 아무래도 풀윤활이 될것이고 지금에 와서는 다양한 스위치들에서 약간은 취향이 생기면서 정리가 되어가는거 같다. 물론 가끔씩 타이핑하고 싶은 축들이 있어, 여러대의 키보드를 넘나들고 있지만...

 

그래서 그동안 사용해봤던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에 대해서 분해해보고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려 한다.

 

 

무소음에 가까운 오테뮤 저소음백축(Outemu Silent White)

 

기계식 키보드를 계속해서 쓰고는 싶은데 사무실에서 시끄러울까봐 신경이 쓰인다면 이때부터 찾아보는 스위치가 바로 저소음 계열의 것들이다. 하지만 기성품 키보드 시장에서 저소음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순간 가격이 많이 올라간다.

 

그래서 결국 대안으로 생각하게 되는게 역시나 오테뮤사의 저소음축들이다. 가격을 보면 체리사의 제품보다 너무나도 저렴하다. 그리고 품질도 나쁘지 않다.

 

그럼 오테뮤 저소음 백축을 만나보자. 다른 회사들의 백축은 짤깍 소리가 나는 클릭축인 경우도 있는데 오테뮤의 저소음 백축은 리니어축으로 정숙함에 최적화 되어있다.

 

뭔가 조용할거처럼 생겼다

 

아래를 보면 전형적인 오테뮤의 3pin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백축이니 당연스럽게 하판이 흰색으로 만들어져 있다.

 

아무래도 저가형이 3핀이 많은거 같다

 

오늘도 같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서 분해를 해본다. 여러 가지 형태의 스위치 오프너가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른 것도 사용해보고 싶다.

 

오프너 색상이 눈에 들어온다

 

상하판의 이음새는 체리스위치 타입이 아닌 일자로 연결된 형태라 알맞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줘야 한다. (보통은 두가지 타입을 지원하니 잘보고 사용하자.)

 

정확하게 올려놓아야 한다

 

스위치 오프너에 올려놓고 엄지손가락으로 꾹 눌러주면 딸깍하면서 스위치의 상판과 하판이 분리된다. 다른 스위치들은 정말 분리가 잘되는데 가끔 오테뮤 스위치들은 한쪽으로 스위치가 쓰러지면서 분리가 잘안되는 경우가 있다. (저소음 백축도 잘 분리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다른 스위치에 비해서 분해가 잘안된다

 

상판을 드러내면 안쪽에 스템과 스프링이 보인다. 저소음 백축은 키압이 낮고 때문에 조용해야 하기 때문에 스템도 짧고 스프링도 가늘도 짧다.

 

게이트론 등과 비교해서 재질이 약하다

 

스템과 스프링을 드러내보면 일반적인 하판의 모습이 보이고 택타일에 배해서 리니어 특유의 작은 스템이 보인다. 스프링의 길이는 매우 짧다.

 

스템도 짧고 스프링도 약하다

 

오테뮤의 저소음 백축은 체리사의 저소음 적축과는 다르게 서걱임도 없고 그냥 소리가 없다. 사무실에서 사용하기에는 정말 최적의 저소음 스위치다. 다만 단점이라면 약간은 심심할 수 있다.

 

고무재질 댐퍼가 있는데 잘 안보인다

 

잘 보이지는 않겠지만 하판 사이 마찰이 발생하는 곳에 고무(?)재잴의 댐퍼가 들어있어 저소음이 가능하다고 한다.

 

결국 이런거를 생각한다는 것은 커스텀 키보드의 세계로 깊숙하게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아래에는 제조사에서 말하는 오테뮤 저소음 백축의 스펙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조용한 사무용 가성비 기계식 키보드를 찾는다면

 

기계식 키보드를 사용하고 싶은데 사무실에 있는 시간이 대부분이어서 시끄러운 클릭축이나 택타일, 바닥치는 리니어축은 아무래도 눈치가 보여 사용이 어렵다. 그래서 대안으로 삼는게 바로 저소음축들인데 문제는 저소음축이라는 이유로 가격이 만만하지 않다.

 

가성비 저소음 기계식 키보드 제품을 찾아보면 사실 찾기 어려운데 그런 제품중에 주류를 이루었던게 이전에는 한성컴퓨터의 OfficeMaster 787s 제품이었다. 이제품은 체리사의 저소음적축을 채용해서 고급스러운 스위치와 사무실용으로 쓰기에 적당한 가격대(8만원)를 형성해서 인기가 많은 제품이었다.

 

하지만 이제품도 가벼운 마음으로 기계식 키보드를 사무용으로 즐기기에 부담스러운 가격일 수 있었다. 그래서 대안으로 나온 제품이 바로 한성컴퓨터의 OfficeMaster 707s 되겠다. 5만원 정도의 가격으로 정말 조용한 저소음축을 만끽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저소음 사무실용 기계식 키보드에 뭔가 돌풍이 예상된다.

 

707s - 박스부터 단단해보인다

 

깐깐한 포장과 깔끔한 제품

 

포장 박스는 뭔가 모던하면서 단단해보인다. 키보드 뿐만아니라 다른 제품들도 꼼꼼한 포장으로 유명한 한성컴퓨터인데 키보드도 예외는 아니었다.

 

707s - 저소음 복숭아, 라임축

 

이 제품은 오테뮤사의 저소음 복숭아축과 저소음 라임축을 채용하고 있는데 기존에 복숭아축을 사용해봤기 때문에 이번에는 저소음 라임축을 구입해봤다.

 

포장이 너무나 잘되어있다

 

박스를 열어보면 풀배열 화이트 키보드가 비닐과 더스트커버에 잘 포장되어 있다.

 

더스트커버까지 챙겨준다

 

구성품은 매뉴얼, 일체형 USB A 케이블, 청소솔, 키캡 리무버가 들어있다. 가격을 생각하면 더스트커버까지 챙겨주니 정말 혜자롭다고 하겠다.

 

저소음 그 느낌 그대로 사무실 최강 키보드

 

키보드는 풀배열을 채용하고 있고, 디자인은 말 그대로 기본에 충실하게 수수한 모습이다.

 

707s - 정말 기본적인 풀배열의 모습이다

 

케이블은 깔끔하게 도금처리 되어있다. 물론 노이즈 처리도 되어있다.

 

도금과 노이즈처리는 기본이다

 

하단에 높이 조절은 1단으로 가능하게 처리되어 있는데 케이블은 셋방향으로 뺄 수 있도록 홈이 만들어져 있다. 고무범폰도 네 개가 충실하게 붙어있다.

 

세방향 케이블 홈은 꼼꼼하다

 

스위치는 오테뮤사의 라임축을 채용했는데 35g정도의 키압으로 매우 가볍게 타이핑 할 수 있어서 손목에 전혀 부담이 없고, 소음은 정말 거의 없다. 약간의 저소음 댐퍼에 의한 서걱임이 있는데 오히려 좋은 타건감을 준다.

 

1단으로도 충분하다

 

키캡은 안정적이고 빠른 타건을 위한 Low Profile을 채용하고 있는데 체리 프로파일 보다도 조금은 낮은 높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키캡이 매우 얇고 마감이 아쉽다.

 

오테뮤 라임축 타건이 재미있다

 

스테빌은 체리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알루미늄 보강판 아래로 기판이 보인다. 기보강 흡음재와 하단 흡음재가 기본으로 들어있다.

 

스테빌 사이도 흡음재로 채워지면 좋을텐데

 

마지막은 얇은 키캡이 마음에 들지 않아 XVX 프로파일 키캡으로 교체한 모습이다.

 

키캡만 변경한 모습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