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직장인의 출구전략

과연 정답일까.

어떻게 생각해야하나.

 

 

 

 

 

 

 

 


인생2모작 열풍. 꼭 회사를 벗어나야만 할 것인가?

 

 

오래간만에 초등학교 친구녀석들을 만났다. 나이가 한살한살 들어가면서 드문드문 만나게

되지만 마치 어제도 만났던것처럼 편한게 바로 친구인가보다.
다들 몇년만에 만나는 모습들이었지만 바쁜 일상은 잠시 내려놓고 살아가는 이야기를

하다보면 어느새 한밤중이 될만큼 이야기를 나눴다.

어느덧 중년의 아버지, 어머니가 되어버린 우리의 변한모습을 보며 과거를 회상하기도 했지만

필자의 뇌리에 각인된 대화내용은 '앞으로 뭐하고 먹고살지?'라는 주제의 대화였다.

 

이 주제는 어디를 가도 도마위로 올려져 결국은 결론없이 술잔 속에 빠트려 버리는게

습관화되었다. 우선은 직장인의 출구전략에 대해서 이야기하기 전에 꼭 출구전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꼭 지금 하는 일을 벗어나서 다른 무엇인가를 해야하는 것인가?

지금의 일을 벗어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런 부분에 대한 정확한 위치확인 후에 그 답을

찾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필자의 친구들을 보면 대부분 일반적인 직장인들인데 제2의 직업에 대해서 고민하는

이유가 지금의 직장생활에서 임원의 길을 갈것이 아니라면 앞으로 5년 안에 용도폐기(?)가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었다.

 

위기에 대해서 선제대응적인 의미로 대비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오랜기간동안 몸담아온 직장에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좀더 갈고닦아 지속적으로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것이 가장 깔끔한(?) 모델로 보인다.

 

물론 직장내 위기라는 인식이외에 단순하게 다른일을 해보고싶은 마음에 출구전략을 세울수도

있다. 하지만 전혀다른 분야에 대한 도전은 생각보다 긴시간의 준비작업이 필요하다.

한동안 창업열풍이 불면서 쉽게들 접근했던 분야가 모두의 기억속에있는 동네 치킨집과

김밥집이다. 우리에게는 프렌차이즈 열풍속에서 누구는 한달에 얼마를 벌었다더라하는

성공신화를 뒤로하고 눈물의 폐업이 줄을 이었던 기억이있다.

 

왜 이런일들이 반복되는 것일까?

신기하게도 우리는 창업관련 기사, TV 프로그램 등에서 너무나 많이 들었던 레퍼토리를

잊어버리곤 한다. 창업전문가들이 되풀이해서 말했던 준비가 필요하다.

전문가의 조언도 들어보고, 나름의 상권분석과 시뮬레이션. 물론 골자는 철저한 준비없이는

실패가 확실하다이지만. 대부분 마음으로는 고개를 끄덕이지만 어느덧 나의 일이되면 그저

귀찮을 뿐이다.

 

이제 우리의 출구전략으로 돌아와보자.

출구전략은 남들의 성공신화를 놓고봤을때는 목마른자에게 물을대는 오아시스와 같은

존재처럼 보이지만, 앞에서말한 준비없는 창업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한다면 가장 불리하고

확률낮은 게임이 될 공산이크다. 더군다나 그 선택한 분야가 한번도 해본적없는 생소한

분야라면 더욱 그렇다.

 

이제 지겹지 않은가. 말콤 글래드웰. 아웃라이어. 1만시간의 법칙.

'또 그 소리야?'하고 짜증낼지 모르지만 그 짜증 뒤에 우리는 어떤 변화를 실행했는가.

단순하게 인생2모작을 준비하려면 철저하게 준비하셔요. 라고 이글을 끝맺음하고 싶지는 않다.

어느날 갑자기 창의적인 시각이 생겨서 좋은 아이디어 하나로 성공하기에는 이세상이 쉽지않다.

 

인생2모작 또는 직장인 출구전략을 생각하기 이전에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이

무엇인지 고민해보자. 고민뒤에 결론이 또 다른 직업에 대한 도전이라면 구체적인

계획은 그 결정이후에 세우기로하자.

 

 

- Real Prince -

 

 


팁텍톡!의 글이 유용하다고 생각되시면 아래를 활용하셔요.
Follow JoyfulPrince on Twitter 트위터로 만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이메일로 연락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갈수록 어렵다고만 하는 세상

하고싶은 일들은 많지만

현실을 생각하면 어떻게 해야할까

 

 

 

 

 

 

 


인생 이모작, 제2의 직장 그리고 하고싶은 일을 하는 것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은 통계자료를 들춰내지 않아도

자주 들어오던 단골메뉴가 되버렸다.
결국 우리가 자신의 일에 대해서 별다른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일을하고 있다기 보다는 그저 고객이 해달라는 일을 수동적으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 아닐까 생각된다.

 

흔한이야기로 좋아하는 것도 일이되면 재미없다는 말이있다.

그런측면에서 우리의 일은 고객 지향적인 영역과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생각할 수 있어보인다.(물론 고객지향적이라고해서 창의력 발휘를 못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머리속에서는 이 두가지를 나누어 생각하다보니 자신의 일에

집중하기 어려워진다.

 

이런 관념의 틀을 깬 인물들이 많지 않은데 최근에 읽은 자서전 중에서 안도 다다오 같은

인물은 두가지를 모두 접목한 프로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필자의 경우도 공공기관을 상대해서 일하고 있지만 일을하다보면 제도적인 걸림돌들이

너무나많아 애를먹곤 한다. 융통성을 발휘하면 더 작은 노력으로 좋은 성과를 낼수있음에도

여러가지 사유로 어려운길을 가야만 하는것이 공공사업이었다.

 

하지만 안도다다오의 경우는 그런 장애물들을 열정적인 프로정신으로 끊임없는 설득을

통해 '릿코 공동주택'프로젝트와 같은 대형사업을 성공으로 이끌어내고 있다.

누군가 말했듯 길을 찾고있기보다는 내가 원하는 곳에 길을 만들면 된다는 일반인으로는

엄두도 내기어려운 일들을 해내는 것이다.

 

결국 모두가 안된다고 말하고 포기할때 고민으로 시작하여 돌파구를 찾아내는 사람만이

바로 정상이라는 자리에 우뚝설수 있는 것이 아닐까한다. 누군가는 남들이 포기하는 어려운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성공확률이 높다고 말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런것이 운동경기로 치면 바로 부전승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스스로 일을 찾아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성공하지만 우리를 가로막는 것은

이런자세가 자기자신에게는 '손해본다'라고 생각하는 느낌이다.
대부분 마음속의 외침은 '내 회사도 아닌데 내가 왜 일을 찾아서 해.'정도의 느낌이다.

이런 마음이 바로 과감한 결단을 가지고 자기자신이 일의 주체가 되는 것을 가로막는다.

 

누군가 자신의 발전을 원하지만 회사에서는 아닌것같고 자신만의 일을 하고싶다는 생각을

하고있다면 뭐든 시작해보라고 말하고싶다. 물론 회사에서의 업무가 그럴만한 열정을

 준다면 더없이 좋겠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못하다.

 

이렇게 써놓고보면 뭔가 성공하고는 멀어지는 느낌이다. 하지만 무작정 자신만의 일

그러니까 일종의 사업에 뛰어들기 어려운 현실이라면 지금의 직장생활에 충실하게 임하면서

퇴근후에는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해보는 것이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사회초년생들에게는 퇴근 후 자기계발로 '샐러던트'형 인재로 다가갈 수 있고,

중장년층에게는 퇴근 후 퇴직이후의 새로운 시작을 위한 인생2모작 프로젝트가 될 수 있겠다.

한가지 일도 잘하기 힘든데 무슨말이냐고 묻는다면 현실적인 대안제시를 위한 방편이라고

말하고 싶다. 더군다나 가정을 가지고있거나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있는데 마음속에

품은 꿈이 있다면 더욱 현실적인 대안이 되리라 생각된다.

 

지금의 직장생활에 불만이 많다면 이런형태의 돌파구도 나쁘지 않아보인다.
오늘도 모든 직장인과 예비직장인들에게 파이팅을 외쳐본다.

 

- Real Prince -

 


팁텍톡!의 글이 유용하다고 생각되시면 아래를 활용하셔요.
Follow JoyfulPrince on Twitter 트위터로 만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이메일로 연락하고 싶으시면 눌러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