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계식 키보드의 다양한 타건음을 즐기자

 

기계식 키보드에 빠져들면 타건음에 목숨을 걸게되는데(?) 정말 원하는 타건음을 만들기 위해서 여러 가지를 하는거 같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신경쓰는게 바로 스위치가 아닐까 생각된다.

 

처음 시작했을 때는 아무것도 몰랐기 때문에 짤칵거리는 청축의 소리에 이끌려서 그리고나서는 리니어축의 깔끔함에 이끌리고 택타일의 도각거림에 반해서 이리저리 끌려다니다가는 사무실에서는 저소음축의 정숙함에 이런저런 스위치를 써보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스위치를 사용하면서 거치는 과정은 아무래도 풀윤활이 될것이고 지금에 와서는 다양한 스위치들에서 약간은 취향이 생기면서 정리가 되어가는거 같다. 물론 가끔씩 타이핑하고 싶은 축들이 있어, 여러대의 키보드를 넘나들고 있지만...

 

그래서 그동안 사용해봤던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에 대해서 분해해보고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정리해보려 한다.

 

 

하이톤 짤깍임 오테뮤 오션 클릭(Outemu Ocean Click)

 

기계식 키보드에 입문할 때 가장먼저 만나게되는 축은 역시 청축이다. 그 특유의 짤깍거림 때문에 보통은 입문하게 되는데 게이밍 키보드로 기계식 키보드를 접근한다면 역시나 청축 또는 클릭축이 제격이다.

 

오테뮤 청축과 유사하게 클릭축으로 오션축이 있는데 이번에 골라봤다.

 

하늘색이 너무나도 상큼하다

 

그럼 오테뮤 오션 클릭을 만나보자. 오션축은 청축의 시원한 타건감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그 외형도 하늘색으로 오션이라는 이름에 어울리게 만들어져 있다.

 

이제는 3핀이 익숙하다

 

아래를 보면 전형적인 오테뮤의 3pin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투명한 하늘색으로 만들어져 LED가 잘 투과되도록 만들어져 게이밍 키보드에 장착하기에 최고로 만들어진 스위치로 생각된다.

 

스위치 오프너는 항상 똑같다

 

오늘도 같은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해서 분해를 해본다. 여러 가지 형태의 스위치 오프너가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다른 것도 사용해보고 싶다.

 

상하판의 이음새는 체리스위치와 유사하게 네 개의 발이 달려있어 스위치 오프너를 사용하기가 매우 편하게 만들어져 있다. 실제로 오프너를 사용하기가 너무나도 쉬웠다.

 

오션축은 네발타입이다

 

스위치 오프너에 올려놓고 엄지손가락으로 꾹 눌러주면 딸깍하면서 스위치의 상판과 하판이 분리된다. 다른 오테뮤 스위치에 비해서 열기가 너무나도 쉬워 마음에 들었다.

 

오션축은 잘 열린다

 

상판을 드러내면 안쪽에 스템과 스프링이 보인다. 오션 클릭은 청축 계열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키압이 상당하게 높다. 그리고 짤깍임을 극대화 해야하기 때문에 스템의 길이도 상당하게 길다.

 

기다란 스프링이 보인다

 

스템과 스프링을 드러내보면 일반적인 하판의 모습이 보이고 택타일에 준하는 긴 길이의 스템이 보인다. 스프링의 길이도 길고 바닥을 때리면서 철심에 걸려서 짤깍임을 만들어내도록 만들어져 있다.

 

오션축은 스템과 스프링도 길다

 

오테뮤의 오션 클릭은 전형적인 청축의 그것인데 다만 타건감이 일반적인 청축보다 더 경쾌하게 하이톤의 짤깍임을 만들어줘서 정말 게이밍 키보드에 제격인 스위치이다.

 

요즘 오테뮤는 스위치 품질이 좋다

 

전형적인 청축의 구조로 한쪽면에 금색 철심이 나와있어 짤깍거림이 극대화된다.

 

좌측 길게나온 철심으로 짤깍 소리를 만든다

 

결국 이런거를 생각한다는 것은 커스텀 키보드의 세계로 깊숙하게 들어간다는 의미이다. 아래에는 제조사에서 말하는 오테뮤 오션 클릭의 스펙을 간단하게 정리해본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성비(?) 미니배열 기계식 키보드 RK855, RK68

 

모두가 퇴근한 사무실을 돌아보면 사람들의 자리에 있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제각각 다르다. 각자의 취향에 따라서 모두 다른 것들을 쓰고 있는데 최근에 눈에 들어온건 바로 기계식 키보드이다. 어느날 갑자기 눈에 들어와 조금씩 검색하고 관련된 영상을 보다가 빠져들어 이제는 블로그에 글을 올려 정리할 정도가 되었는데... 하지만 아직도 나름 키린이라 할 만하다.

 

처음 기계식 키보드에 관심을 가지면서 여러 가지 모델들을 검색해 보았는데 아무것도 몰랐지만 그냥 남들이 많이 쓰는 그런 키보드를 사고 싶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많은 돈을 투자할 생각도 없어서 결국 고르고 고르다가 알리를 통해서 미니배열 키보드를 하나 주문했다.

 

구입한 키보드는 Royal Kludge RK855라는 제품인데 구입할 당시에는 RK68인줄알고 주문했는데 좀 찾아보니 두 제품이 거의 같다고 한다. 단지 가격이 저렴해서 잘 산줄 알았는데 내가 구입한 키보드는 White LEDBluetooth 3.0을 지원하는 제품이었다.(그래서인지 처음 블루투스를 인식 시킬때면 많이 느리다. 하지만 일단 연결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Royal Kludge RK855/RK68 - 구성품이 단촐하다.

단출한 구성품. 하지만 가격을 생각하면 모든게 용서

나에게는 첫 번째 기계식 키보드였기 때문에 아무런 정보도 없었고 일반적인 디자인의 제품을 사기는 싫어서 미니배열이 더욱 눈에 들어왔다. 지금이야 조금은 알지만 이때는 기계식 키보드하면 대표적인게 청축이라고 생각해서 아무생각없이 그냥 청축으로 구매했다.(지금은 클릭축보다는 리니어나 택타일을 선호하게 되었지만...)

 

구성품은 가격만큼이나 단촐하다.(가격은 알리에서 $30 정도에 구매했다.) 키보드 크기의 박스에 완전 조립된 키보드와 키캡풀러, USB C to A 케이블, 보증서가 들어있다. (구입한지 좀 지나서 그 사이에 키캡놀이를 하느라고 바뀌어있고 원래는 OEM profile과 유사한 흰색 키캡이 장착되어 있다.)

미니/포커배열로 공간절약과 디자인을 잡았다.

공간절약에 있을건 다있는 키보드

포커배열이나 미니배열이라 불리우는 키보드의 장점이라면 아무래도 디자인도 멋지지만 책상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과 휴대성이 좋다는 점일 것이다. , 이 제품의 배열은 펑션키 사용을 위해서는 Fn+숫자키 조합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사용빈도가 많지 않다면 디자인과 휴대성에 양보할 수 있을거 같다. (이런점 때문인지 최근에는 75%배열이 인기가 있는거 같다.)

 

하판에는 큼직한 네 개의 고무범폰이 미끄럼 방지를 하고, 가운데에 블루투스 모드 사용을 위한 스위치가 위치해있다. 본 제품은 유선, 블루투스 사용이 가능하다.(, RF 방식은 지원하지 않는다.) 블루투스는 5대까지 연결이 가능하여 전혀 부족함이 없다.

 

스위치는 후아노의 청축이 장착되어 있다. 판매되는 제품들을 보면 청축, 갈축, 적축이 있는거 같고 가끔 녹축이 포함되어 있는데 실제 판매되는지는 잘 모르겠다.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RK68 설명을 보면 핫스왑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는데 RK855는 지원이 안되는거 같다. 커스텀을 위해서 하판을 열어봤을 때 납땜이 되어있어 스위치 교체는 포기하게 되었다.

 

후아노 스위치는 저가형으로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하는데 1년 이상 사용하면서 문제는 없었다. 물론 더 지나면 모르겠지만... 청축 특유의 짤깍임이 처음에는 좋았는데 지금은 조금 시끄럽게 느껴져 아무래도 가끔씩 타건해보고 있다.

후아노 청축 스위치 - 핫스왑 지원이 된다는데 내꺼는 왜 안되는지...
 

이쁜 가성비 기계식 키보드를 찾는다면 괜찮은 선택

이 제품은 조금 사용을 하다가 기계식 키보드에 대해서 공부하게 되면서 나름 잡소리를 없애기 위해서 스테빌 윤활, 테이프 모드, 스폰지 흡음재 추가 등의 처리를 하게 되었다. 청축이기는 하지만 이런 약간의 커스텀 처리가 소리를 많이 깔끔하게 만들어주었다.

 

이 제품에 대한 결론이라기는 뭐하지만 기계식 키보드에 대해서 전혀 모를 때 관심을 가지기에 충분한 제품이었고, 이쁜 디자인에 책상 공간절약과 휴대성, 그리고 블루투스 키보드를 찾는다면 가성비 가득 제품이 될거라고 생각된다. (아직도 알리에서 3만원대에 구매 가능하다.)

XDA 키캡은 교환했지만 적응이 조금 필요하다.

Royal Kludge RK855

스위치 : Huano Blue Switch

연결방식 : 유선(USB C to A), Bluetooth(5대까지 연결 가능)

키캡 : 알리발 9009 XDA profile(웜톤 베이지 색상)

커스텀 내역 :

 - 스테빌 : SuperLube 테프론 그리스 (윤활)

 - PCB 기판 : 다이소 마스킹테이프 (테이프 모드 처리)

 - 흡음재 : 다이소 문풍지 0.9m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