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계식 키보드 질문 답해보자

 

블로그를 활발하게 운영하는건 아니지만 가끔 유입되는 키워드를 보면 질문 형태로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기계식 키보드에 대한 궁금점들인데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봤다.

 

사실 그냥 약간의 취미생활 형태로 기계식 키보드를 즐기고 있어 아는게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답변할 수 있는 것들은 조금씩 끄적여 보겠다는 생각으로 질의응답 포스팅을 만들어본다.

 

나름의 답변을 하겠지만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가감없이 댓글에 더 좋은 의견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 GMK67 스위치가 빠져요

 

사실 GMK67을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이렇게 핫스왑 방식의 기계식 키보드에서 키캡을 분리하려했는데 스위치까지 빠지는 경험은 한 번씩 해봤을 거다.

 

이런 경우에는 스위치를 키캡에서 분리하고 다시 끼워주면 되는데 은근히 거슬리고 귀찮은 일이다. 키캡놀이를 할때마다 이런일이 생긴다면 아마도 짜증도 나고 반복되면 해당되는 키가 인식이 안될까봐 불안할텐데...

 

개인적으로는 ik75 pro가 스위치 체결이 약했다

 

특별한 방법은 없지만 원인을 본다면...

 

우선 결론부터 말하면 특별한 해결방법은 없다. 다만 답답한 상황이니 원인을 생각해보자.

 

경험상 이런 핫스왑 모델들이 존재한다. 개인적으로는 ik75 pro가 그랬다. 심한건 아니지만 체결이 강하게되는 키캡을 사용했을때는 키캡 분리시에 스위치까지 딸려나오는 경험을 많이했다. 약간의 불안감이 있기는 했지만 문제없이 사용하고 있고 생각보다 키캡이나 스위치 교환을 자주하는건 아니어서 그냥 그러려니 사용하고 있다. 아무래도 기판의 스위치가 체결되는 홈이 타이트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로 생각된다.

 

사용기를 많이 읽어보면 닌자87의 경우도 이런 경우가 많다고들 하는데 사실 직접 사용한건 아니어서 잘 모르겠다.

 

또 다른 원인은 최근에 가스켓 마운트 형태의 핫스왑 기계식 키보드들은 기본적인 흡음재가 충실하게 들어있어서 기판에 별도의 필름까지 있는 경우에 그 두께가 생각보다 두꺼운 경우들이 있다. 이런 경우에 스위치가 기판과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아서 체결이 느슨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경우에 약간은 스위치가 잘 빠지는 경우들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스위치가 빠진다고해서 키보드를 거꾸로 들어서 그대로 빠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에 문제가 되지는 않으니 그럭저럭 사용할 수 있다.

 

정말 매일매일 키캡과 스위치를 교체하는게 아니라면 마음에 드는 스위치와 키캡을 세팅하고 계속해서 사용하는걸 추천해본다. 아니면 3pin보다는 5pin 스위치를 사용해서 체결력을 높여보는것도 추천해본다.

 

써놓고보니 그다지 도움이 안된거 같은데 그래도 질문 형태의 유입 키워드에 대해서 종종 포스팅 해볼 생각이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장 무난한 75% 배열 커스텀 키보드?

 

개봉기에서도 말했지만 최근까지도 알리에서 판매되는 키보드들을 보면 75% 배열에서는 Feker ik75가 많은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 그만큼 인지도도 있고 가성비 커스텀 키보드에서는 나름의 품질도 보장되니 그 인기를 유지하는거 같다.

 

사용하면서 몇가지 단점도 있지만 그래도 장점이 많은 키보드이기 때문에 가성비 커스텀 키보드를 선택해보라면 반드시 목록에 올려놓을 키보드를 생각하고 있는 모델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라인업으로 판매가 되고 있지만 나중에 소개할 Feker의 키캡까지 구매한다고 생각하면 최근 판매되는 Feker ik75 ultra 모델도 가성비가 좋아보인다. (그러는 중에 최근에는 ik65 모델이 출시되어 역시 반응이 좋은거 같다.)

 

먼저는 개봉기였고 오늘은 여기에 스위치를 체결하고 키캡도 끼워줘서 완성한 모습을 간단하게 정리해보려 한다. 물론 약간의 커스텀도 시도했는데 결과는 생각보다 그냥그랬다. 그 부분은 뒤에서...

 

75% 배열에서는 최고아닌지 - ik75 pro

 

강력한 배터리와 3mode의 편의성이 좋은

 

ik75 pro 모델의 장점이라면 아무래도 유선, 2.4GHz, 블루투스의 세가지 모드를 지원한다는점과 8,000mAh 용량의 대용량 배터리를 지원한다는게 가장 크게 보인다. (한 번 충전하면 언제 다시 충전할지 모를정도다.)

 

많은 사람들이 하단에 스위치가 있는 모델을 싫어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별다르게 불편하다고 느낀적은 없다. 자주 만질 필요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 오히려 별도의 2.4GHz 수신기 수납공간이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보인다. 다만 제품 설명 스티커는 조금 부실해보인다.

 

투명하판에 검은색은 다이소 흡음재

 

제품 뒷면에는 USB c 포트가 좌측에 위치한다. 최근에는 항공케이블이나 코일케이블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운데인지 좌우 방향에서 대해서도 많이들 체크하는거 같다.

 

케이블 커넥터 주변도 넓어서 제약은 거의없다

 

오테뮤 판다와 젤리 키캡으로 마무리를

 

ik75 pro는 스위치와 키캡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두가지 별도 구입과 조립이 필요했는데 우선 스위치는 오테뮤사의 판다축을 선택했다. 홀리판다가 유행할 때 그 가격을 보고 유사품을 많이도 찾아봤다. 아무래도 오테뮤가 저렴했다. 다들 평이 매우 비슷하다고해서 구입했다.

 

키캡의 색상이 붉은색으로 매우 강렬하게 보이고 실제로 강한 스프링의 키압과 바닥을 치는 택타일 스위치의 경쾌한 소리가 호불호가 확실한 스위치로 느껴졌다. 처음에는 흑축처럼 강한 키압의 구분감을 좋아했는데 요즘은 조금 피곤하게 느껴져 키압이 낮은 스위치를 선호하게 되었다.

 

오테뮤 판다 스위치는 뭔가 강렬하다

 

원래는 화이트 베어본을 구입하려했는데 품절되어 투명 베어본을 구입해 키캡 매칭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스위치의 울림이 중요할거 같아서 우선 체리 프로파일은 피하고 OEM 프로파일의 젤리 키캡을 선택했다.

 

ik75 pro - 오테뮤 판다 스위치, 젤리키캡

 

나름 무난무난한데 타건감도 나쁘지 않았고, 약간의 높이도 확보되어 울림도 적당하게 있었다. ik75 proLED 광량이 약하다는 의견이 많은데 젤리 키캡을 사용하니 그래도 약해보이지는 않았다.

 

ik75 pro LED 광량은 나쁘지않다

 

전반적으로 너무 좋지만 약간의 아쉬움도

 

ik75 pro는 전반적으로 베어본 품질도 좋고 기본 흡음재와 기보강 흡음재, 가스켓 마운트 등 가격에 비해서 구성품이 너무나도 훌륭하다. 블랙프라이데이 할인까지 적용하니 너무나도 저렴하게 구매해서 더욱 좋았다. 거기에 다양한 구성의 스위치와 키캡을 마음껏 교환할 수 있으니 최상의 커스텀 키보드 중에 하나가 아닌가 생각되는 제품이었다.

 

다만 약간의 아쉬움은 커스텀을 잘못해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투명 베어본의 경우 약간 스위치의 울림이 먹어들어가는 느낌이 있어서 도각도각 소리를 선호한다면 전용 실리콘 흡음재 등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겠다. 약간 소리가 퍼지는 느낌이라 경쾌함이 필요하다면 조금 고민이 되는 베어본이었다. 이외에는 모든게 다 좋았다.

 

ik75 pro 전반적으로 좋다

 

FEKER IK75 pro

 

스위치 : Outemu Panda Switch

연결방식 : 유선(USB C), 무선(2.4GHz, 블루투스)

키캡 : PBT 이중사출(화이트 젤리)

스테빌라이저 : 체리식

부가기능 : Rainbow LED

커스텀 내역 :

- 흡음재 : 다이소 문풍지(10mm)

- 테이프모드 : 다이소 마스킹 테이프

- 윤활제 : Superlube 에어로졸 + Superlube Grease

반응형
728x90
반응형

75% 배열 커스텀 키보드를 고른다면?

 

기계식 키보드에 관심을 가지면서 처음 접하는 것들은 아무래도 기성품 중에서 저가형, 가성비 이런 단어가 어울리는 제품들을 찾기 마련이다. 그러면서 스위치도 다양하게 써보고 싶어지고 키캡 놀이도 해보다가 뭔가 허전함을 느끼게 된다.

 

그 허전함 이후에 생각하게 되는 코스라면 바로 커스텀 키보드에 도전하는 것인데 대부분 여러 가지 사용기와 타건 영상을 보면서 나도 저런 소리가 나는 디자인이 멋진 키보드를 가지고 싶다는데서 시작된다. 지금은 너무나도 많은 종류의 베어본 형태의 커스텀 키보드들이 출시되면서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약간의 과거로 돌아가면 몇가지 제품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거 같다.

 

그런 상황에서 75% 배열 커스텀 키보드에 가성비로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키보드가 있었으니 바로 FEKER사의 IK75 모델이 그것이다. 요즘은 가성비인지 아닌지 잘 알기 어렵게 가성비 제품들이 많아졌지만 과거에는 IK75 만큼의 커스텀 베어본을 만나기 어려웠던거 같다.

 

IK75 pro 가격에 비해서 박스포장이 완벽하다

 

다양 구성품에 실리콘 가스켓까지

 

최근에는 가스켓 마운트 커스텀 키보드들이 일반화되었지만 IK75가 나올때만해도 일반화까지는 아니었는데 이 제품의 구성품을 보면 너무나도 충실하고 가격대를 생각하면 혜자라 할 수 있겠다. 아마도 10만원 이하 커스텀 키보드 베어본 중에서는 손꼽을 구성이라 하겠다. (물론 지금은 비슷한 제품들이 많아졌다.)

 

구성품은 튼튼한 박스를 개봉하면 더스트커버가 버티고 있고, 그 안에 구성품들이 배치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더스트커버, 설명서, PC보강판(메탈보강판이 기본 장착 되어있다.), 키캡리무버, 스위치리무버, USB C to A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별도로 PC보강판을 포함하고 있는게 역시나 혜자라 할 수 있다.(보통은 별도품으로 판매한다.)

 

분해해보면 메탈보강판에 실리콘 가스켓이 마운트 되어있어 부드러운 타건감을 살려준다. 물론 PC보강판으로 교체하면 더 부드러운 타건감을 살릴 수 있다. (타건할 때 키보드가 푹신푹신해진다.)

 

더스트커버에 FEKER 글자는 좀 별로다

 

부족함이 없는 다양한 기능으로 무장

 

이 제품은 커스텀 키보드를 구성하기 위한 베어본으로 스위치와 키캡은 자신의 취향에 따라서 별도로 구매해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물론 최근에는 IK75 Ultra 제품이 나오면서 FEKER의 스위치와 키캡을 포함해서 판매하는 패키지도 있다.

 

먼저 영입했던 CK87, RK855가 떨고있다?

 

더스트커버를 벗겨내면 메탈 보강판 아래로 기판이 보이는데 75% 배열로 역방향 3/5핀이 호환되는 핫스왑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스위치가 호환되는 형태다. 다만 역방향 방식이어서 체리 프로파일 높이의 키캡에서는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간섭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니 직접 판단해볼 필요가 있다.)

 

75% 배열은 텐키리스 보다도 더 필요한 키를 압축해서 구성해 놓았는데 펑션키 배열은 살아있기 때문에 거의 불편함이 없다. 오히려 추가로 볼륨 노브를 지원하고 있어서 멀티미디어 제어에 편리하다.(노브는 한 번 써보면 없는 키보드를 쓸 때 불편함을 느낄만큼 편하다.)

 

RGB를 생각하면 역방향인건가?

 

이 제품은 화이트/블랙 색상을 판매하는데 특이하게도 반투명 제품도 있다. 구매한 제품은 반투명 화이트 제품인데 조금은 유행이 지난 느낌이다. 나름의 장점이라면 레인보우 RGB가 도드라지게 보인다는거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유선/무선(2.4GHz, 블루투스)3mode를 지원한다는 것과 배터리가 무려 8,000mAh 대용량이 채용되어 한 번 충전하면 몇 달 동안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커스텀키 지원은 FKER에서 전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고, VIA를 지원하는 모델은 별도로 판매된다.

 

지금은 시장이 달라지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은 75%배열 커스텀 키보드에서는 FEKER IK75 PRO를 고려해야 한다.(보통 3mode 제품이 7-8만원쯤 하고 블프 세일을 잘 노리면 5만원대에도 구입가능하다.) 이후에 스위치와 키캡을 체결한 포스팅을 이어가려 한다.

 

IK75 PRO-이 가격에 PC보강판까지 훌륭한 구성품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