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제 모니터암까지는 설치를 끝냈기 때문에 모니터를 배치하는 일이 남아있다. 사실 그동안 여러가지 형태의 모니터를 사용해보면서 배치를 어떻게해야 가장 효율적일지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다. 아니 지금도 거치고 있는 과정이라 하겠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모니터 배치는 주관적인 영역이기도 하고 주로하는 작업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많이 달라질 있는 영역이라 말하기 어렵다.

 

그동안 시도했던 모니터 배치들

 

그동안 시도해봤던 모니터 배치들을 나열해본다. 아래에 여러가지 방식을 사용해봤지만 여러가지로 고민이 많았다. 한가지씩 뒤돌아보겠다.

 

  • 49인치 싱글모니터(UHD) - 가로
  • 32인치 듀얼모니터(QHD) - 가로
  • 32인치 듀얼모니터(QHD) - 세로 + 34인치 싱글모니터(WFHD) - 가로

 

크게보면 이렇게 세가지 조합으로 모니터를 활용해 온거 같다. 먼저 ’49인치 싱글 모니터’는 우선 모니터는 크면 클수록 좋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사실 모니터라 표현했지만 정확하게는 TV를 모니터로 활용하였다. 49인치라는 크기가 사실 모니터로 활용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사이즈였고 이렇게 사용하려면 책상의 크기도 상당하게 커야한다. 여러개의 창을 사용하기에는 정말 편했지만 아무래도 높이가 높아서 고개를 계속해서 쳐들고 사용하기 어려워서 포기했던 기억이 있다. 또한, TV를 모니터로 활용하다보니 화질 문제가 있어서 눈이 아팠던 기억도 한몫을 했다.

 

두번째 조합은 32인치 QHD 모니터를 가로로 배치해서 듀얼로 사용하였다. 49인치를 사용하면서 눈이 아프고 고개도 아파서 사이즈와 높이로는 정말 만족스러웠다. QHD 해상도도 생각보다는 나쁘지 않았다. 물론 아직도 UHD 해상도에 대한 부족함이 느껴지지만 그래도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다만, 이 조합에서 단점은 가로로 듀얼 배치를 하니 중앙에 모니터 연결이 발생해서 주모니터 개념이 없어지고 허리를 틀어서 양쪽의 모니터에 분산해서 뭔가를 봐야한다는게 너무나도 불편했다. 이렇게되니 결과적으로는 한쪽 32인치 모니터를 보조로 사용하게 되는데 잘 안보게되는 단점이 발생했다. 32인치 가로 듀얼은 결론적으로 시선이 끝까지 가기 어려웠다. 

 

세번째 조합은 필요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데스크테리어 영상을 보다가 트리플 모니터 조합이 너무나도 멋지게 보여서 시도해봤다. 우선 32인치를 세로로 세워서 사용하는게 굉장하게 유용해 보여서 시도해봤는데 결론 역시 실패했다. 기존 가로로 사용하던 32인치 듀얼 모니터를 양쪽 사이드에 세로로 세워서 배치했다. 그리고 가운데에는 34인치 와이드 모니터를 배치했는데 문제는 34인치 모니터의 해상도에서 발생했다. WFHD해상도가 아무래도 많이 부족했다. 그리고 세로 배열을 양쪽에 배치하는 한쪽은 잘 안보게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은 이 배열도 시각적으로는 멋지게 보였지만 활용도 측면에서는 실패였다.

 

그래서 그동안의 실패를 가지고 여러가지 고민을 해보고 새로운 조합을 시도하게 되었다.

 

트리플 모니터 배열의 새로운 조합

 

지금 사용하게된 조합은 우선 시선 분산이 최대한 되지 않도록 가운데로 모니터를 모아야 한다는 거에서 시작했다. 그래서 수직배열을 알아보게 되었고, 가로를 2층으로 수직 배열하는 형태가 의외로 많이 시도한다는걸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 알게되었다. 그래서 찾아본 모니터암이 바로 카멜마운트의 FMA-V 수직 듀얼모니터암이었다. 

 

그리고 두번째 생각했던 부분은 시선을 최대한 가운데로 모으기 위해서 마지막 세번째 모니터를 세로로 배치하는 형태였다. 주로 문서를 보거나 보조자료 등을 보는 용도로 사용할 목적으로 32인치 모니터를 세로로 배치했다. 세로 모니터를 좌측으로 할지 우측으로 할지 많은 고민을 했는데 해가 들어오는 반대쪽에 배열하기 위해서 우측으로 배치했다. 

 

트리플 모니터 배치

 

활용은 32인치 QHD 모니터를 가운데 배치해서 주 모니터로 활용하고, 위로 올라간 34인치 WFHD 모니터는 주로 메신저나 상태창, 또는 유튜브 영상을 틀어놓는 용도로 사용하고, 우측에 세로로 배치한 32인치 QHD 모니터는 문서나 보조자료를 보는 용도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사용해보니 그동안 단점으로 생각되었던 것들이 보완되었고, 나름 만족도가 높아졌다. 

 

트리플 모니터 배치

 

다만, 최근 들어서는 아주 큰 사이즈(40인치 이상)의 모니터를 싱글로 사용해서 깔끔하게 데스크를 정리하고 싶은 생각이 들고있는데 기존 트리플 모니터를 처분해도 그다지 돈이 안되서 너무나 많은 비용이 예상되어 망설이고 있는 상황이다. 일단은 현재의 조합이 좋기 때문에 당분간은 계속해서 사용할 생각이다. 

 

트리플 모니터 배치

 

오늘은 트리플 모니터 배열에 대해서 다뤄봤다. 모니터 제품에 대해서는 이후에 추가로 다뤄보겠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데스크테리어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사실 오랜기간 여러가지 사례를 유튜브를 통해서 검색했고, 머리속으로는 완성된 형태를 고민하면서 여러번 시뮬레이션을 거쳤다. 그리고는 방을 다시 정리하면서 중요한 부분은 하루에 다 마무리하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은 구입해서 배송이 오는대로 설치하는 형태로 완성했는데 게으름때문에 포스팅이 계속해서 늦어지고 있다. 최대한 빨리 마무리하고 다음 프로젝트로 넘어가려 한다. 

 

그중에서 오늘은 여러대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특성상 세로형으로 배치를 위해서 피봇이 가능한 싱글 모니터암카멜마운트 MSH-27B’모델을 소개하려 한다. 전에 책상편에서 말했지만 책상의 상판이 너무나도 두꺼워 클램프 타입의 모니터암 사용이 불가능하여 선택하게된 제품이다. 제품명 뒤에 알파벳 B 검은색 제품이라 블랙색상을 의미하는거 같다.

 

 

신뢰감이 가는 모니터암 카멜마운트

모니터암 제품은 여러가지 브랜드가 있지만 카멜마운트라는 브랜드명이 주는 편안함이 있는거 같다. 물론 많이 사용해본건 아니다. 지금 사용하는 수직 듀얼제품과 오늘 소개할 이 제품이 전부이지만 주변에서도 평이 좋아서 선택하게 되었다. MSH-27B 제품은 생각보다 가격도 높지 않아서 부담없이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이었다. 

 

카멜마운트 제품의 박스는 고유의 노란색과 화이트 색상이 섞인 친근한 모습을 보여준다. 박스 상단에는 제품의 특징에 대해서 그림으로 쉽게 설명이 되어있어 주요 스펙을 한눈에 알 수 있다. 27인치까지 사용가능하다는 표기도 있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면 32인치 모델도 안전하게 사용가능했다. (물론 모니터의 무게에 따라서 사용이 불가능 할수도 있겠다.)

 

카멜마운트 MSH-27B

 

제품은 틸팅, 엘리베이션, 스위블, 피봇 거의 모든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베사마운트는 75/100mm 지원하고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100mm이상이 필요하다면 아마도 무게를 버틸수 있는 범위는 아닐것으로 생각되기에 사용할 일이 없을거 같다.

 

 

다양하게 제공하는 각종 추가 부품들

카멜마운트의 MSH-27B 제품은 정말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나사 및 베사마운트의 유격을 잡아주는 부품을 제공하고 마운트 연결 나사도 크기에 따라서 4세트를 제공하고 있다. 거의 대부분의 모니터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려하는 부품제공이 마음에 들었다. 

 

구성품은 하단 받침판이 있는데 매우 묵직하다. 모니터가 넘어지지 않도록 정말 묵직한 받침판을 제공하고, 모니터 거치를 위한 중심봉도 아주 묵직하게 만들어져있다. 중심봉에는 선정리를 위한 홀더를 제공하고 있어서 최소한의 선정리는 가능한 제품이다. 하단받침판과 중심봉은 6 나사로 연결되는데 나사를 돌리기 위한 전용렌치도 제공하고 있다. 

 

카멜마운트 MSH-27B

 

간편하게 설치가능한 카멜마운트 MSH-27B

설치는 너무나도 쉽다. 하단 받침판과 중심봉을 연결하고 모니터와 베사마운트를 연결한다. 그리고 베사마운트를 스탠드에 연결해주면 된다. 고정레버 나사를 조여서 모니터가 고개를 숙이지 않도록 조절해주면 끝이다. 그리고는 원하는 배치형태로 피봇 기능을 사용해서 모니터를 돌려주면 된다. 

 

카멜마운트 MSH-27B

 

블랙색상의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어서 MSH-27B 제품을 구매하였고, 색상에서오는 나름의 일체감이 있다. 나중에 소개하겠지만 현재 트리플 모니터 구성을 사용하고 있어 우측에 피봇을 활용한 세로 형태로 거치해서 잘 사용하고 있다. 32인치 세로 배치가 조금은 부담스럽지만 문서를 보거나 각종 보조자료 조회를 위해서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된다.

 

카멜마운트 MSH-27B

 

클램프 타입의 모니터암 사용이 어려운 환경에서 피봇 형태로 모니터를 활용하고 싶다면 카멜마운트 MSH-27 모델이 정답이라고 생각된다. 피봇 스탠드를 지원하는 모니터의 가격이 대부분 엄청나게 비싸기 때문에 2만원대의 모니터 스탠드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면 합리적인 소비라고 생각되고, 나름의 사용성도 좋으니 필요하다면 구매해보기를 바란다.

 

카멜마운트 MSH-27B

 

데스크테리어 모니터 편에서 스탠드를 조금 소개할 있을거 같다. 모니터스탠드 편은 여기에서 마무리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모니터 거치 필수템 - 모니터암

 

이제 데스크테리어를 위한 기본적인 뼈대에 마지막에 해당될 모니터암이다. 보통 모니터암이라고하면 정말 로봇팔처럼 생긴 그런 모니터암을 생각할텐데 이번에 소개할 제품은 그냥 수직형 듀얼 모니터암 제품이다.

 

이 제품을 선택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모니터 배열을 위해서 그런것도 있지만 책상 때문이 크다. 책상 상판과 아래 금속 프레임의 두께가 무려 10cm에 달하기 때문에 클램프 타입의 모니터암을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였다.

 

또한 모니터 배열이 수직으로 듀얼 모니터 배열이 필요해서 이렇게 된 이유도 있고, 모니터 배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서 정착하게 된 형태인데 이 부분은 모니터편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32인치도 쉽게 수직 듀얼 모니터암 카멜마운트 FMA-V

 

모니터암 제품이 정말 많이 있지만 그래도 시중에서는 카멜마운트의 제품이 많이 보이는거 같다. 물론 가격대가 조금 나가는 제품들도 많이 있지만 수직 듀얼 모니터암을 생각하면서는 그다지 선택의 여지가 없었던거 같다.

 

우선 카메마운트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생각하면 쉽게 선택할 수 있었다. FMA-V라는 수직 듀얼 모니터 배치가 가능한 모니터암 제품인데 지금은 단종되어 FMA-V2 제품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인터넷에서 약 4만원 정도에 구입이 가능한 제품이다.

 

카멜마운트 FMA-V

 

수직으로 듀얼 모니터 배치를 할 예정이라 책상의 가운데를 표시하고 자리를 잡아주었다. 사진에서는 여러 가지로 지저분해 보이는데 중간에 북엔드를 통해서 다른 제품 거치를 위해서 붙여놓아서 그렇고 원래 제품에는 저런 중간 북엔드는 없다. (나중에 모니터 라이트를 소개하면서 설명하겠다.)

 

카멜마운트 FMA-V

 

책상 상판의 두께 때문에 설치가 불가능한게 아닌가 고민했는데 기존 클램프를 제거하고 약간의 두께 조절을 해주니 겨우 설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원래 제품은 나사방식으로 돌려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클램프가 동봉되어있다.

 

모니터 거치를 위한 봉의 길이가 약 80cm 정도에 달하기 때문에 32인치 듀얼 모니터를 수직으로 세우기에도 부족함이 없다. 물론 아래 모니터의 시선을 위해 10cm 이상 위로 띄워준다는 가정에도 넉넉하다. 베사 마운트는 75x75, 100x100을 지원한다.

 

카멜마운트 FMA-V

 

베사 마운트에 해당하는 부품은 연결나사까지 다양하고 넉넉하게 지원하고 있어서 설치하면 이런 형태가 된다. 베사 마운트 금속판 연결부의 플라스틱 완충 부품도 제공하니 모니터 연결부에 상처가 날 염려는 없다.

 

중간 나사를 통해서 장력 조절을 해주면 모니터가 헐렁하게 고개를 숙일일도 없다. (사진에 모니터 모습은 듀얼 위쪽 모니터라 일부러 고개를 아래로 배치한 모습이다.)

 

카멜마운트 FMA-V

 

여러 가지로 시행착오를 거쳐서 마련하게된 모니터암의 최종 결과물은 모니터 편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카멜마운트의 수직 듀얼 모니터암 FMA-V 제품이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